[일부개정]
◇ 개정이유
최근 전세가 상승 등 주택임대차 시장의 현황을 반영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 및 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와 기준을 경제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한편,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 및 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와 기준을 심의ㆍ의결하는 기구인 주택임대차위원회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위원 연임 제한 규정을 마련하고, 해촉(解囑) 기준을 정비하려는 것임.
◇ 주요내용
가. 우선변제를 받을 보증금 및 임차인의 범위 확대(제10조제1항 및 제11조)
1) 보증금 중 우선변제를 받을 금액을 서울특별시는 3천200만원 이하에서 3천400만원 이하로, 과밀억제권역ㆍ광역시 등을 제외한 그 밖의 지역은 1천500만원에서 1천700만원 이하로 각각 상향 조정함.
2)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임차인의 범위를 서울특별시는 보증금 9천500만원 이하인 임차인에서 1억원 이하인 임차인으로, 그 밖의 지역은 보증금 4천500만원 이하인 임차인에서 5천만원 이하로 각각 확대함.
3) 보증금 4천500만원 이하인 임차인만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었던 세종특별자치시를, 보증금 6천만원 이하인 임차인까지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는 광역시, 안산ㆍ용인ㆍ김포ㆍ광주시와 같은 지역으로 분류함.
나. 주택임대차위원회 위원의 연임 제한 신설 및 해촉(解囑) 기준 정비(제13조)
1) 주택임대차위원회는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의 범위와 보증금의 기준을 심의ㆍ의결하는 기구로서 그 구성과 운영에 있어서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일 필요가 있어 위촉위원은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도록 연임을 제한함.
2) 주택임대차위원회 위원의 해촉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거나 위원으로 적합하지 아니한 경우 외에 직무와 관련한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경우를 추가하는 등 해촉 기준을 정비함.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시행2016.1.25] [대통령령 제26922호, 2016.1.22, 타법개정] |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시행2016.3.31] [대통령령 제27078호, 2016.3.31, 일부개정] |
---|
제10조(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 등) ① 법 제8조에 따라 우선변제를 받을 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의한 금액 이하로 한다. |
제10조(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 등) ① -----------------------------------------------------------------------------------------------------. | ||
1. 서울특별시: 3천200만원 |
1. ------------ 3천400만원 | ||
2. (생 략) |
2. (현행과 같음) | ||
3. 광역시(「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에 포함된 지역과 군지역은 제외한다), 안산시, 용인시, 김포시 및 광주시: 2천만원 |
3. ------------------------------------------------------------------------- 제외한다), 세종특별자치시------------------------------------------- | ||
4. 그 밖의 지역: 1천500만원 |
4. -------------- 1천700만원 | ||
② ∼ ④ (생 략) |
② ∼ ④ (현행과 같음) | ||
제11조(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의 범위) 법 제8조에 따라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은 보증금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의한 금액 이하인 임차인으로 한다. |
제11조(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의 범위) ------------------------------------------------------------------------------------------------------. | ||
1. 서울특별시: 9천500만원 |
1. ------------ 1억원 | ||
2. (생 략) |
2. (현행과 같음) | ||
3. 광역시(「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에 포함된 지역과 군지역은 제외한다), 안산시, 용인시, 김포시 및 광주시: 6천만원 |
3. ------------------------------------------------------------------------- 제외한다), 세종특별자치시------------------------------------------- | ||
4. 그 밖의 지역: 4천500만원[전문개정 2008.8.21][제4조에서 이동, 종전 제11조는 제18조로 이동 ] |
4. -------------- 5천만원[전문개정 -------------------------------------------------------- | ||
제13조(위원의 임기 등) ① 법 제8조의2에 따른 주택임대차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다만, 공무원인 위원의 임기는 그 직위에 재직하는 기간으로 한다. |
제13조(위원의 임기 등) ① --------------------------------------------------------------------------------- 하되,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다. -------------------------------------------------------------. | ||
② 위원장은 위촉된 위원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거나, 직무를 현저히 게을리하는 등 위원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인정된 경우에는 해촉(解囑)할 수 있다.[본조신설 2009.7.30][제6조에서 이동, 종전 제13조는 제20조로 이동 ] |
② 위원장은 위촉된 위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위원을 해촉할 수 있다. 1. 심신장애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2. 직무와 관련한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경우 3. 직무태만, 품위손상,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위원으로 적합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위원 스스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의사를 밝히는 경우[본조신설 2009.7.30][제6조에서 이동, 종전 제13조는 제20조로 이동 ] |
<법제처 제공>
'主要法令 1 > 주택임대차보호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임대차계약증서상의 확정일자 부여 및 임대차 정보제공에 관한 규칙[시행 2016.12.30.] (0) | 2017.01.01 |
---|---|
주택임대차계약증서상의 확정일자 부여 및 임대차 정보제공에 관한 규칙 (0) | 2016.05.26 |
주택임대차보호법[시행 2015.7.1.] (0) | 2015.07.01 |
주택임대차계약증서상의 확정일자 부여 및 임대차 정보제공에 관한 규칙[시행 2014.1.1.] (0) | 2013.12.31 |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0) | 201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