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① 법정지상권이 성립된 건물의 소유자가 그 건물과 법정지상권 중 어느 하나만을 처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x
-
대법원 2001. 12. 27. 선고 2000다1976 판결
[손해배상(기)][공2002.2.15.(148),350]
【판시사항】
[1] 법정지상권이 건물의 소유권과 분리되어 양도되었다고 하여도 사회질서에 반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2] 법정지상권이 건물의 소유에 부속되는 종속적인 권리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아파트 수분양자들은 아파트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가지고 있어 그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게 되면 법정지상권과 함께 해당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는 것이므로, 그와 같은 지위에 있는 자들로 구성된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가 그 구성원들이 취득하게 될 아파트의 대지권 확보를 위하여 법정지상권을 취득하였다면, 그 법정지상권이 아파트의 소유권과는 분리되어 양도되었다고 하여도 이를 사회질서에 반하여 무효라고 할 수 없다고 한 사례.
[2] 민법 제366조 소정의 법정지상권은 토지와 그 토지상의 건물이 같은 사람의 소유에 속하였다가 그 중의 하나가 경매 등으로 인하여 다른 사람의 소유에 속하게 된 경우에 그 건물의 유지, 존립을 위하여 특별히 인정된 권리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위 법정지상권이 건물의 소유에 부속되는 종속적인 권리가 되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독립된 법률상의 물권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건물의 소유자가 건물과 법정지상권 중 어느 하나만을 처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조조문】
민법 제366조(법정지상권)
저당물의 경매로 인하여 토지와 그 지상건물이 다른 소유자에 속한 경우에는 토지소유자는 건물소유자에 대하여 지상권을 설정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지료는 당사자의 청구에 의하여 법원이 이를 정한다.
'民 法 > @民法 旣出判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다38176 판결 -토지를 전전매수한 피고를 상대로 진정 명의의 회복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 (0) | 2016.04.05 |
---|---|
2004다49532 판결 -사해행위취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0) | 2016.04.05 |
* 2001다28299 판결 -유언의 방식에 의하지 아니한 피상속인의 상속재산 분할방법 지정행위의 효력 (0) | 2016.03.11 |
2013다25552 판결 -민사집행법 제246조 제2항의 규정 취지 및 위 조항에 따라 압류명령이 취소된 경우 (0) | 2016.02.26 |
95다44290 판결 -선의의 점유자가 점유물의 점유·사용으로 얻은 이득을 반환하여야 하는지 (0) | 2016.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