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④ 비법인사단이 타인 간의 금전채무를 보증하는 행위는 총유물의 관리·처분이라고 볼 수 없다.
<17>⑤비법인사단의 대표자가 그 사단의 이름으로 채무보증계약을 체결한 경우 보증채무 부담행위는 결국 총유물의 처분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어 총유물의
관리·처분에 관한 법리가 적용되므로 조합규약에서 정한 조합 임원회의 결의를 거치지 않으면 효력이 없다.x
-
대법원 2007.4.19. 선고 2004다60072,60089 전원합의체 판결
【판시사항】
비법인사단이 타인 간의 금전채무를 보증하는 행위를 총유물의 관리ㆍ처분행위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및 비법인사단인 재건축조합의 조합장이 채무보증계약을 체결하면서 조합규약에서 정한 조합 임원회의 결의 등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경우, 그 보증계약의 효력(원칙적 유효)
【판결요지】
민법 제275조, 제276조 제1항에서 말하는 총유물의 관리 및 처분이라 함은 총유물 그 자체에 관한 이용·개량행위나 법률적·사실적 처분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비법인사단이 타인 간의 금전채무를 보증하는 행위는 총유물 그 자체의 관리·처분이 따르지 아니하는 단순한 채무부담행위에 불과하여 이를 총유물의 관리·처분행위라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비법인사단인 재건축조합의 조합장이 채무보증계약을 체결하면서 조합규약에서 정한 조합 임원회의 결의를 거치지 아니하였다거나 조합원총회 결의를 거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바로 그 보증계약이 무효라고 할 수는 없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 조합 임원회의의 결의 등을 거치도록 한 조합규약은 조합장의 대표권을 제한하는 규정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거래 상대방이 그와 같은 대표권 제한 및 그 위반 사실을 알았거나 과실로 인하여 이를 알지 못한 때에는 그 거래행위가 무효로 된다고 봄이 상당하며, 이 경우 그 거래 상대방이 대표권 제한 및 그 위반 사실을 알았거나 알지 못한 데에 과실이 있다는 사정은 그 거래의 무효를 주장하는 측이 이를 주장·입증하여야 한다.
'民 法 > @民法 旣出判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09다93992 판결 -유류분반환청구권이 채권자대위권의 목적이 될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0) | 2013.08.01 |
---|---|
# 92다32876 판결 -채무자가 제3채무자에 대한 권리를 재판상 행사하여 패소의 확정판결을 받은 경우 .. (0) | 2012.08.25 |
2004다37775 전원합의체 판결 -교인들이 교회를 탈퇴하여 그 교회 교인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경우 종전 교회 재산의 귀속관계(잔존 교인들의 총유) (0) | 2012.08.25 |
94다12722 판결 -건물에 대한 저당권이 실행되어 경락인이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 (0) | 2012.08.25 |
2006다28126 판결 -유류분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반환의무자가 증여받은 재산의 시가 산정의 기준시기 (0) | 201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