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⑤근저당권 설정 후 부동산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근저당권설정자인 종전의 소유자는 목적물의 소유권을 상실한 이상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없다.x
-
대법원 1994.1.25. 선고 93다16338 판결
【근저당권말소】
근저당권 설정 후 부동산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근저당권설정자인 종전의소유자도 피담보채무의 소멸을 이유로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근저당권이 설정된 후에 그 부동산의 소유권이 제3자에게 이전된 경우에는 현재의 소유자가 자신의 소유권에 기하여 피담보채무의 소멸을 원인으로 그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근저당권설정자인 종전의 소유자도 근저당권설정계약의 당사자로서 근저당권소멸에 따른 원상회복으로 근저당권자에게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는 계약상 권리가 있으므로 이러한 계약상 권리에 터잡아 근저당권자에게 피담보채무의 소멸을 이유로 하여 그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고 봄이 상당하고, 목적물의 소유권을 상실하였다는 이유만으로 그러한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고 볼 것은 아니다.
'民 法 > @民法 旣出判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다25116 판결 -농지개혁법상 무효인 소작관계에 기하여 소작인을 점유매개자로 하여 농지를 간접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자와 부동산 시효취득에 있어 (0) | 2011.07.06 |
---|---|
97다37661 전원합의체 판결 -토지 매수인이 매매계약에 의하여 목적 토지의 점유를 취득한 경우 그 계약이 타인의 토지의 매매.. (0) | 2011.07.06 |
97다56242 판결 -저당권등기 유용의 합의는 있었으나 저당권 이전의 부기등기를 경료하지 못한 경우의 법률관계 (0) | 2011.07.06 |
- 2006다50055 판결 -채권자 아닌 제3자 명의의 근저당권설정등기의 효력(한정 유효) (0) | 2011.07.06 |
- 2000다73049 판결 -채권자가 채무자의 채권자취소권을 대위행사하는 경우 (0) | 201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