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15>②가압류의 피보전채권에 관하여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이에 흡수되어 소멸되지 않는다.
<執16>①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은 가압류의 집행보전의 효력이 존속하는 동안 계속되며,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되었더라도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이에 흡수되어 소멸된다고 할 수 없다.
-
대법원 2000. 4. 25. 선고 2000다11102 판결
[가압류결정취소][집48(1)민,149;공2000.6.15.(108),1290]
【판시사항】
[1] 가압류의 집행보전의 효력이 존속하는 동안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계속되는지 여부(적극)
[2] 가압류의 피보전채권에 관하여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된 경우,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소멸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민법 제168조에서 가압류를 시효중단사유로 정하고 있는 것은 가압류에 의하여 채권자가 권리를 행사하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인데 가압류에 의한 집행보전의 효력이 존속하는 동안은 가압류채권자에 의한 권리행사가 계속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은 가압류의 집행보전의 효력이 존속하는 동안은 계속된다.
[2] 민법 제168조에서 가압류와 재판상의 청구를 별도의 시효중단사유로 규정하고 있는데 비추어 보면, 가압류의 피보전채권에 관하여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이에 흡수되어 소멸된다고 할 수 없다.
.
제168조(소멸시효의 중단사유)
소멸시효는 다음 각호의 사유로 인하여 중단된다.
1. 청구
2.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
3. 승인
'民 法 > @民法 旣出判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94다17536 판결 -재산분할청구권 행사기간의 법적 성질 (0) | 2016.04.16 |
---|---|
2001다59033 판결 -채권가압류결정의 채권자가 본안소송에서 승소하는 등으로 채무명의를 취득하는 경우 (0) | 2016.04.15 |
97다31472 판결 -채권자대위소송의 제3채무자가 채무자의 채권자에 대한 소멸시효 완성의 항변 (0) | 2016.04.15 |
99다13157 판결 -피상속인의 자녀가 상속개시 전에 전부 사망한 경우 피상속인의 손자녀의 상속 (0) | 2016.04.05 |
92다2127 판결 - 남편의 사망 당시 태아를 임신하고 있던 처가 태아를 낙태하면 (0) | 2016.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