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19>④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가 일단 취소된 이상 그 후에는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의 추인에 의하여 이미 취소되어 무효인 것으로 간주된 당초의 의사표시를
다시 확정적으로 유효하게 할 수는 없고, 다만 무효인 법률행위의 추인의 요건과 효력으로서 추인할 수 있을 뿐이다.
-
대법원 1997. 12. 12. 선고 95다38240 판결
[소유권이전등기말소][집45(3)민,360;공1998.1.15.(50),243]
【판시사항】
[1] 판결 이유에서 문서의 진정성립의 근거를 설시해야 할 경우 및 민사소송법 제330조 소정의 인영 등의 대조는 육안에 의해서도 가능한지 여부(적극)
[2] 취소할 수 있는 의사표시를 취소한 후 다시 추인한 경우, 그 추인의 성질과 추인할 수 있는 조건
[3] 1980. 5. 실시된 비상계엄하에서 합동수사단 수사관 등의 강박에 의하여 국가에 대해 재산 양도의 의사표시를 한 경우, 강박 상태가 종료된 시점(=비상계엄의 해제시)
【판결요지】
[1] 상대방이 문서의 진정성립을 적극적으로 다투거나 서증의 진정성립 여부가 쟁점이 된 때, 또한 서증이 당해 사건의 쟁점이 되는 주요사실을 인정하는 자료로 쓰여지는데 상대방이 그 증거능력을 다툴 때에는 문서가 어떠한 이유로 증거능력이 있는 것인지에 관하여 설시하는 것이 옳고, 사문서의 경우 그것이 어떠한 증거에 의하여 진정성립이 인정된 것인지 잘 알아보기 어려운 경우에도 그 근거를 분명히 밝혀서 설시하여야 하나, 문서의 진정성립은 필적 또는 인영·무인의 대조에 의하여서도 증명할 수 있고 그 필적 또는 인영·무인의 대조는 사실심의 자유심증에 속하는 사항으로서, 문서 작성자의 필적 또는 인영·무인과 증명의 대상인 문서의 필적 또는 인영·무인이 동일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문서의 진정성립을 인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법원은 반드시 감정으로써 필적, 인영 등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이 육안에 의한 대조로도 이를 판단할 수 있다.
[2] 취소한 법률행위는 처음부터 무효인 것으로 간주되므로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가 일단 취소된 이상 그 후에는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의 추인에 의하여 이미 취소되어 무효인 것으로 간주된 당초의 의사표시를 다시 확정적으로 유효하게 할 수는 없고, 다만 무효인 법률행위의 추인의 요건과 효력으로서 추인할 수는 있으나, 무효행위의 추인은 그 무효 원인이 소멸한 후에 하여야 그 효력이 있고, 따라서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임을 이유로 일단 유효하게 취소되어 당초의 의사표시가 무효로 된 후에 추인한 경우 그 추인이 효력을 가지기 위하여는 그 무효 원인이 소멸한 후일 것을 요한다고 할 것인데, 그 무효 원인이란 바로 위 의사표시의 취소사유라 할 것이므로 결국 무효 원인이 소멸한 후란 것은 당초의 의사표시의 성립 과정에 존재하였던 취소의 원인이 종료된 후, 즉 강박 상태에서 벗어난 후라고 보아야 한다.
[3] 1980. 5. 실시된 비상계엄하의 합동수사단 수사관 등의 강박에 의하여 국가에 대하여 재산 양도의 의사표시를 한 자에 대한 강박의 상태가 종료된 시점은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던 비상계엄이 해제되어 헌정질서가 회복된 1981. 1. 21. 이후이다.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193조 제2항 , 제329조 , 제330조 [2] 민법 제139조 , 제141조 , 제144조 제1항 [3] 민법 제110조 제1항 , 제144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10. 11. 선고 91다12707 판결(공1991, 2699)
대법원 1993. 5. 11. 선고 92다50973 판결(공1993하, 1680)
대법원 1993. 12. 7. 선고 93다41914 판결(공1994상, 343)
대법원 1995. 12. 22. 선고 95다35197 판결(공1996상, 500)
[3] 대법원 1992. 11. 27. 선고 92다8521 판결(공1993상, 243)
대법원 1993. 2. 23. 선고 92다14632 판결(공1993상, 1056)
대법원 1996. 10. 11. 선고 95다1460 판결(공1996하, 3285)
'民 法 > @民法 旣出判例' 카테고리의 다른 글
82다카200 판결 -제3채무자가 가압류 채무자에 대한 반대채권으로써 상계할 수 있는 요건 (0) | 2016.01.21 |
---|---|
91다18316 판결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있게 되면 중간매수인의 첫 매도인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소멸되는지 (0) | 2016.01.20 |
73다2023 판결 -부재자재산관리인의 권한초과행위가 부재자에 대한 실종선고기간이 만료된 후에 이루어진 경우 (0) | 2016.01.20 |
91다11810 판결 -부재자가 사망간주되는 시점 이후 실종선고가 있기 이전에 재산관리인의 처분행위 (0) | 2016.01.20 |
86다카2446 판결 -제작물공급계약의 법적성격 (0) | 2016.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