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경매진행 중 토지의 이동이 있는 경우의 등기촉탁절차
경매절차가 진행 중인 토지에 대하여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지적재조사에 의하여 면적이 일부 증가하였더라도 이는 토지의 이동에 해당하여 그 동일성이 유지되는 것이므로, 지적재조사 완료에 따라 그 면적이 증가하여 토지대장에 변경등록이 된 다음 변경 전의 표시대로 매각허가결정이 있었고 이후 등기기록에 표시변경등기가 이루어졌다면, 매각허가결정을 경정할 필요 없이 촉탁서에 변경 전의 부동산의 표시를 하고 그 밑에 변경된 현재의 내용대로 표시를 하여 매각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촉탁을 할 수 있다.
(2018. 4. 6. 부동산등기과-798 질의회답)
참조조문 : 민법 제358조, 민사집행법 제135조,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제24조 제1항, 제25조 제1항,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64조 제2항, 부동산등기법 제29조 제11호, 제34조, 부동산등기규칙 제43조
참조예규 : 등기예규 제1625호
참조선례 : 2015. 8. 31. 부동산등기과-2058 질의회답
'最近 판례·선례·예규 > 최근 선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상속등기를 유증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로 경정하는 등기의 가부(소극)와 수증자 앞으로의 소유권이전등기 절차 (0) | 2019.01.08 |
---|---|
[4] 일반 저당권을 「공장 및 광업재단 저당법」 제6조의 저당권으로 변경 시 등기의무자의 등기필정보 제공 여부(적극)(선례변경) (0) | 2019.01.08 |
[2] 사립학교경영자가 유치원 건물에 대하여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하는 경우의 첨부정보 (0) | 2019.01.08 |
[1] 공유물분할등기청구권보전의 가처분등기 후 마쳐진 지분이전등기의 경매분할판결에 의한 말소등기 가능 여부(소극) (0) | 2019.01.08 |
법인등기 선례(2018. 1. 12.~ 2018. 12. 31.) (0) | 2019.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