商業登記法/商業登記判例

96다32768,32775,32782 판결 -소집권자에 의하여 소집된 주주총회에서 정족수에 미달한 결의가 이루어진 경우

산물소리 2011. 6. 10. 16:58
<16>④ 주주총회의 결의는 원칙적으로 결의의 성립과 동시에 효력이 발생하고, 주주총회가 소집권자에 의하여 소집된 경우에 있어서, 주주총회의 결의가 결과적으로

   정족수에 미달하는 결의가 이루어진 것이라면 당연무효사유가 된다는 것이 판례이다.x

 -

대법원 1996. 12. 23. 선고 96다32768,32775,32782 판결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등][공1997.2.15.(28),514]


 

【판시사항】
[1] 명의개서를 하지 아니한 주식양수인에게 소집통지를 하지 않고 이루어진 주주총회결의의 절차상 하자 여부(소극)

[2] 전체 주식의 43%를 취득하였으나 그 주식 취득의 효력이 다투어지고 있는 자의 명의개서 요구에 불응하고, 주주명부만을 기초로 소집통지한 것이 주주총회결의의 무효 또는 부존재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본 사례

[3] 소집권자에 의하여 소집된 주주총회에서 정족수에 미달한 결의가 이루어진 경우, 그 하자가 결의취소사유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주식을 취득한 자가 회사에 대하여 의결권을 주장할 수 있기 위하여는 주주명부에 주주로서 명의개서를 하여야 하므로, 명의개서를 하지 아니한 주식양수인에 대하여 주주총회소집통지를 하지 않았다고 하여 주주총회결의에 절차상의 하자가 있다고 할 수 없다.

[2] 주식을 취득한 자가 회사에 대하여 명의개서를 요구하였다 하더라도, 그 주식 취득자에 대한 주식양도의 효력이 다투어져 주주권확인소송 및 명의개서절차이행청구의 소가 제기되어 있었고, 그 주식 취득자가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는 주식이 전체 주식의 43%에 불과한 경우에, 회사가 그 주식 취득자의 명의개서 요구에 불응하고 주주명부에 등재되어 있는 자에 대하여만 소집통지를 하여 주주총회를 개최하였다 하더라도 그러한 소집절차상의 하자는 주주총회결의의 무효나 부존재사유가 될 수 없다고 한 사례.

[3] 주주총회가 소집권자에 의하여 소집되어 개최된 이상 정족수에 미달한 결의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하자는 결의취소의 사유에 불과하고, 무효 또는 부존재한 결의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상법 제337조 제1항 , 제380조 [2] 상법 제337조 제1항 , 제380조 [3] 상법 제368조 , 제376조 , 제380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89. 5. 23. 선고 88다카16690 판결(공1989, 993)

[2] 대법원 1993. 1. 26. 선고 92다11008 판결(공1993상, 852)
대법원 1993. 7. 13. 선고 92다40952 판결(공1993하, 2242)

[3] 대법원 1983. 8. 23. 선고 83도748 판결(공1983, 1448)